전체 글 149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

의존성 주입은 원칙을 설계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법이다. 목차"의존"이란의존성 생성의존성 주입 방법불변 VS 가변불변 vs 상수"의존" 이란?A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기능이 필요해서 다른 클래스를 호출하여 사용하는 경우, A 클래스는 그 클래스에 "의존"한다고 말한다. 의존성 생성어쨌든, A 클래스는 다른 클래스의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의존을 할 수 밖에 없다.그렇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의존성을 생성할 수 있을까? 1. 의존성의 명시적 생성개발자가 직접 의존성을 생성한다는 의미에서 이렇게도 부른다.이러한 경우, A 클래스는 다른 클래스의 생성에 민감하기 때문에 강한 의존성 또는 강한 결합을 의미한다. 다른 클래스가 바뀌면 A 클래스도 수정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테스트하려고 해도 다른 클래스를 대체(Moc..

[Messaging] RabbitMQ 도입편

관련 나의 블로그 글분산 메세지 큐 1편 - 읽은 책https://jm-baek.tistory.com/325분산 메세지 큐 2편 - 읽은 책https://jm-baek.tistory.com/330[Messaging] RabbitMQ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63[Messaging] RabbitMQ 도입 구상편https://jm-baek.tistory.com/358✅ [Messaging] RabbitMQ 도입편https://jm-baek.tistory.com/392 혼자 고민하고 정리해서 서툴고 틀린 방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좋은 충고와 질문은 어제든 감사드립니다. 🙇‍♂️ 빠른 시일 내에 작성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예시 코드Library여러 블로..

[Messaging] RabbitMQ 도입 구상편

관련 나의 블로그 글분산 메세지 큐 1편 - 읽은 책https://jm-baek.tistory.com/325분산 메세지 큐 2편 - 읽은 책https://jm-baek.tistory.com/330[Messaging] RabbitMQ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63✅ [Messaging] RabbitMQ 도입 구상편https://jm-baek.tistory.com/358[Messaging] RabbitMQ 도입편https://jm-baek.tistory.com/392 혼자 고민하고 정리해서 서툴고 틀린 방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좋은 충고와 질문은 어제든 감사드립니다. 🎯 빠른 정리아래 순서대로 고민하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 메세지를 전송하기 위해 어떠한 아키텍처(..

[Messaging] RabbitMQ 개념편

관련 나의 블로그 글분산 메세지 큐 1편 - 읽은 책https://jm-baek.tistory.com/325분산 메세지 큐 2편 - 읽은 책https://jm-baek.tistory.com/330✅ [Messaging] RabbitMQ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63[Messaging] RabbitMQ 도입 구상편https://jm-baek.tistory.com/358[Messaging] RabbitMQ 도입편https://jm-baek.tistory.com/392 혼자 고민하고 정리해서 서툴고 틀린 방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좋은 충고와 질문은 어제든 감사드립니다. Why Messagig System?🙋 통신 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왜 메세지 큐 기반의 통신을..

[Security] 인가(Authorization) 개념편

관련 나의 블로그 [Security] 접근 제어 정책(Access Control)https://jm-baek.tistory.com/370[Security] Spring Security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6[Security] 인증(Authentic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5 ✅ [Security] 인가(Authoriz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9[Security]Spring Security 도입 구상편https://jm-baek.tistory.com/388[Security] Spring Security 도입편 혼자 고민하고 정리해서 서툴고 틀린 방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Security] Spring Security Framework 개념편

관련 나의 블로그 [Security] 접근 제어 정책(Access Control)https://jm-baek.tistory.com/370 ✅ [Security] Spring Security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6[Security] 인증(Authentic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5[Security] 인가(Authoriz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9[Security]Spring Security 도입 구상편https://jm-baek.tistory.com/388[Security] Spring Security 도입편 혼자 고민하고 정리해서 서툴고 틀린 방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Security] Spring Security 도입 구상 편

관련 나의 블로그 [Security] 접근 제어 정책(Access Control)https://jm-baek.tistory.com/370[Security] Spring Security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6[Security] 인증(Authentic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5[Security] 인가(Authoriz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9✅ [Security]Spring Security 도입 구상편https://jm-baek.tistory.com/388 [Security] Spring Security 도입편 혼자 고민하고 정리해서 서툴고 틀린 방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Security] 접근 제어 정책(Access Control)

관련 나의 블로그 ✅ [Security] 접근 제어 정책(Access Control)https://jm-baek.tistory.com/370[Security] Spring Security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6[Security] 인증(Authentic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5[Security] 인가(Authoriz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9[Security]Spring Security 도입 구상편https://jm-baek.tistory.com/388[Security] Spring Security 도입편 혼자 고민하고 정리해서 서툴고 틀린 방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안 이야기 2025.02.13

[Security] 인증(Authentication) 개념편

관련 나의 블로그 [Security] 접근 제어 정책(Access Control)https://jm-baek.tistory.com/370[Security] Spring Security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6 ✅ [Security] 인증(Authentic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5[Security] 인가(Authorization) 개념편https://jm-baek.tistory.com/389[Security]Spring Security 도입 구상편https://jm-baek.tistory.com/388[Security] Spring Security 도입편 혼자 고민하고 정리해서 서툴고 틀린 방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좋..

객체(Object)와 클래스(Class)란?

아래 내용들은 모두 ChatGPT 님의 말씀 입니다. 📌 클래스(Class)와 객체(Object)는 다르지만,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1️⃣ 클래스(Class)란?설계도(Blueprint) 역할객체를 만들기 위한 틀(Template)속성(필드)과 행동(메서드)을 정의실체가 아니라 개념적인 존재class Car { // 속성(필드) private String model; private int speed; // 동작(메서드) public void accelerate() { speed += 10; }} 2️⃣ 객체(Object)란?클래스를 기반으로 실제 메모리에 할당된 실체객체는 클래스를 통해 만들어지고, 독립적인 값을 가짐클래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