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1

인터넷 네트워크

💡 본 내용은 인프런 사이트에서 김영한 강사님의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직식"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인터넷 네트워크 망을 통해서 통신을 주고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 관련 기본 지식에 대해 공부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 네트워크에 대해 깊게 공부하면 정말 깊게할 수 있지만 웹 개발을 위한 기본 지식인 만큼 가볍게 보고 넘어가면 될 것을 생각한다. 만약 중간에 궁금한 부분들은 따로 공부를 더 하면 됩니다. 1️⃣ 인터넷 통신 자신의 컴퓨터에서 다른 사람에게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수 많은 거점(?)들을 통과하면서 데이터가 이동을 하게 된다. 2️⃣인터넷 프로토콜(IP) ※ 패킷(packet) 은 네트워크 통신 정보 단위(?)라고 생각하면 된다. 패킷에 대해서도 깊게 공부하려면 따..

[읽어볼 거리] 엑셀 다운로드

엑셀 다운로드 기능을 구현하면서 찾아본 내용입니다. https://techblog.woowahan.com/2698/ 아 엑셀다운로드 개발,,, 쉽고 빠르게 하고 싶다 (feat. 엑셀 다운로드 모듈 개발기) | 우아한형제 {{item.name}} 1.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정산시스템팀 병아리 개발자 최태현입니다. 최근에 엑셀 다운로드 개발을 편하게 할 수 있는 모듈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제가 엑셀 다운로드 모듈을 만들게 techblog.woowahan.com

읽은 책 2023.11.02

[읽어볼 거리] jQuery DataTable 서버 사이드

DataTable의 ajax 를 사용하면 서버로 파라미터 값들을 보내주는데 나는 파라미터 그대로 while 반복문을 사용해서 추출했었다..!(1차 내용) 그런데 @RequestBody MultiValueMap를 사용해서 Map으로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신기 방기했고 (2차 내용) MultiValueMap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다.(3차 내용) 내용 수정을 할 수 있도록 곧 하겠씁니다. https://zamezzz.tistory.com/310 [JavaScript #11] dataTables 사용하기 (2) ● dataTables - 2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dataTables의 server-side processing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너무 많은 데이터 행을 처리할 때는 너무..

읽은 책 2023.10.23

[Spring Framework] 오류 페이지 처리 1탄

해당 글은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바 실행 자바의 main 메서드를 실행하는 경우 main 이라는 이름의 쓰레드가 실행된다. 에러가 발생하고 잡지 못하면 main 쓰레드가 예외 정보를 남기고 종료된다. 웹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요청 별로 별도의 쓰레드가 할당 되고, 서블릿 컨테이너 안에서 실행된다. try ~ catch로 예외를 잡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잡지 못하고 서블릿 밖으로 전달되면 서블릿의 오류 페이지 요청 흐름 WAS → 필터 → 서블릿 → 인터셉터 → 컨트롤러 ⇒ 정상요청 WAS ← 필터 ← 서블릿 ← 인터셉터 ← 컨트롤러(예외발생) ⇒ 예외발생 WAS “/error-page/500" → 필터 → 서블릿 → 인터..

[읽어볼 거리] 라이브러리, 모듈, 플러그인 차이점

글을 읽을 때마다, 어떤 것은 라이브러리, 모듈, 플러그인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있어서 정확하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찾아보다가 아래 블로그를 찾게 되었다. 프레임워크(Framework), 라이브러리(Library), 플러그인(Plug-in), 모듈(Module)의 차이 📕 프레임워크 Framework. 직역하면 뼈대/구조라고 한다.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자면, Frame 은 틀, 규칙/법칙을 의미하고 work 는 일, 소프트웨어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 doozi0316.tistory.com 시간이 된다면 한 번 읽어보자!!

읽은 책 2023.10.04

[코딩 영어] bind

jsTree 오픈소스 페이지를 읽다가 "bind to events triggered on the tree" 라는 문장을 보았다. 무슨 느낌인지는 알겠는데 정확하게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어서 찾아보았다. chat GPT의 말로는 "bind"는 프로그래밍에서 이벤트 처리와 관련된 용어로 사용된다고 한다. "bind to event"는 특정 상황에서 발생하는 이벤트(클릭, 키보드 조작 등)를 감지하고 처리하라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벤트 핸들러를 작성할 수 있다. 이벤트 핸들러: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 될 특정 함수를 특정 이벤트에 연결한다. 처리 방법의 예시로 나의 글 on 메서드 편 을 보시면 된당!!

읽은 책 2023.09.20

[읽어볼 거리] 쿠키 없앤다는 구글

인터넷 서칭을 하다가 해당 글을 찾게 되었다. 한 번 쯤 읽어도 괜찮을 것 같아서 링크를 남겨 놓는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tech-plus&logNo=223206062106&proxyReferer= 쿠키 없앤다는 구글, 어디까지 왔나 웹을 이용하다 보면, 쿠키라는 작은 데이터가 남는다. 쿠키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서버에 전송한 데이터 ... blog.naver.com

읽은 책 2023.09.18

[프로그래밍] Thread with Java

해당 내용은 인프런의 즐거운 자바 를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병렬화 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 메모리의 속도 CPU 캐시 메모리 디시크 네트워크 컨넥션 순차적 실행이 병렬실행보다 빠른 경우도 있다. 동시 실행에 따라는 오버헤드가 없고, 단일 CPU 알고리즘은 하드웨어 작업에 더 친화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암달의 법칙(Amdahl's Law) 병렬 컴퓨팅을 할 경우, 일부 병렬화 가능한 작업들은 사실상 계산에 참여하는 컴퓨터의 개수에 비례해서 속도가 늘어난다. 이러한 경우 암달의 법칙에 의해서 전체 수행시간의 개선 효과는 병렬화가 불가능한 작업들의 비중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아무리 컴퓨터의 개수가 늘어나더라도 속도의 한계는 정해져있다. 병렬 VS 병행 병행(Concurrent)은 멀티스레드 프로그래..

[객체지향] 4가지 특징

해당 내용은 인프런의 즐거운 자바 를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객체지향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내가 만들 객체들이 메모리에 올라간 후, 어떻게 서로 관계를 맺고 동작할 지가 정리돼야 할 수 있다. 엘런 커티스 케이는 객체 지향의 핵심은 "메시징"이라고 했다. 훌륭하고 성장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핵심은 모듈(클래스) 내부의 속성(필드)과 행동(메서드)이 어떤가보다 모듈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하는가에 달려있다.즉, 객체들 간에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난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메시징은 무엇인가?어떤 객체가 다른 객체의 메소드를 어떻게 호출하는 것을 우리는 메시징이라고 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메소드가 언제 호출되고, 어떻게 호출되고, 메소드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야하는지 어떻게 호출해야하는지 고..